본문 바로가기
경제

청약통장 꼭 필요한가?

by 파파맘 2025. 5. 13.

청약통장을 가지고 있는데 언젠가 쓸 수는 있는 걸까? 아이꺼도 들어놨다. 보통 적금보다 이율이 높다하니 적금하는 샘치고 가입하긴 했는데 이대로 쭉 넣는 것이 좋은지, 무주택인 사람만 좋은건지, 아이는 계속 넣는게 유리한지.. 생각해 보자.

<청약통장이란?>

청약통장은 내 집 마련을 위한 주택청약 전용 통장입니다. 정부가 분양할 때 누구에게 우선권을 줄지 정하는 기준으로 가입 기간, 납입 횟수, 금액 등을 활용합니다.

청약통장의 종류와 통합

  • 예전에는 청약저축, 청약예금, 청약부금이 각각 있었지만
  • 지금은 '주택청약종합저축' 하나로 통합되어 모든 청약이 가능합니다.

기본 조건 요약

항목 설명
가입 대상 누구나 가능 (연령 제한 없음)
가입 은행 국민, 우리, 신한, 농협, 하나은행 등
월 납입금액 2만~50만 원 (1만 원 단위 선택)
이자율 예금 수준 (연 1.8%~3.3% 변동)
인정 납입 한도 월 50만 원까지 청약자격에 반영

청약 시 주요 혜택

  • 무주택자 우선공급: 가입 기간과 납입 횟수가 많을수록 유리
  • 가점제 적용: 국민주택과 민영주택 모두에서 유리한 조건
  • 추첨제 포함: 납입금액 기준으로 추첨 대상이 됨

청약통장이 필요한 사람

  • 결혼 또는 자녀 계획이 있는 무주택자
  • 10년 이내 내 집 마련을 목표로 하는 사람
  • 서울 및 수도권 아파트 청약을 준비 중인 사람

<청약통장, 한 달에 얼마 넣는 게 유리할까?>

청약통장(주택청약종합저축)은 매달 얼마를 넣느냐에 따라 청약 시 당첨 기회에 영향을 미칩니다. 목표하는 주택 종류(국민주택 vs 민영주택)에 따라 전략이 달라져요.

기본 원칙

  • 국민주택: 월 납입 인정 횟수가 중요
  • 민영주택: 총 납입 금액이 중요
  • 청약 자격 계산 시, 월 10만 원까지만 인정됨

현재 2만 원씩 내고 있다면?

  • 공공분양(국민주택)에는 유효함
  • 하지만 민영주택 청약 시 총 납입금이 작아서 불리할 수 있음

예시 비교 (24개월 납입 시)

구분 월 납입 금액 24개월 후 인정 금액
A (현재 상태) 2만 원 48만 원
B (추천) 10만 원 240만 원

결론

  • 민영주택도 노린다면 월 10만 원으로 증액하는 것이 유리함
  • 공공분양만 목표라면 2만 원이라도 꾸준히 오래 납입하는 것이 중요함

2025.05.01 - [경제] - 1억 모으기 가능할까?

 

'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퇴직연금 DC형 vs DB형  (0) 2025.05.14
복리의 마법  (1) 2025.05.10
달러하락. 어디까지?  (0) 2025.05.09
금 vs 비트코인 : 어느 자산이 더 나은 투자처일까?  (0) 2025.05.08
금 ETF의 모든 것  (0) 2025.05.0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