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경제

연금저축펀드에서 세액공제를 받는 방법

by 파파맘 2025. 3. 27.

세액공제 최대로 받아보자.

연말정산(근로자) 또는 종합소득세 신고(사업자) 할 때 공제 신청을 하면 된다.


1. 세액공제 대상 & 한도 확인하기

  • 연금저축펀드 납입액의 최대 400만 원까지 세액공제 가능
  • 세액공제율은 총 급여에 따라 13.2%~16.5% 적용됨
총급여(연봉)세액공제율최대 세액공제 환급액 (400만 원 납입 시)
5,500만 원 이하 16.5% 66만 원
5,500만 원 초과 13.2% 52.8만 원

IRP(퇴직연금)와 함께 가입하면 최대 900만 원까지 공제 가능!

  • 연금저축펀드(400만 원) + IRP(500만 원) = 900만 원까지 세액공제
  • 최대 148.5만 원 절세 가능!

2. 세액공제 받는 방법

근로자 (회사원) → 연말정산 시 공제 신청

  •  연금저축펀드 납입 → 1년 동안 불입한 금액 확인
  • 국세청 홈택스 접속 (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이용 가능)
  • "연금저축납입증명서" 다운로드
  • 회사에 제출하면 연말정산 때 세액공제 적용됨
  • 회사에서 연말정산 안 해줄 경우 - 직접 홈택스에서 종합소득세 신고하면 됨!

개인사업자 → 종합소득세 신고 시 공제 신청

  • 5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에 홈택스 접속
  • "연금저축납입증명서" 다운로드
  • 신고서 작성할 때 연금저축 납입액 입력
  • 공제 적용 후 세금 환급 받기!

3. 세액공제 받을 때 주의할 점

55세 이전 해지하면 세금 손해 큼!

  • 기타소득세 16.5% 부과 → 공제받은 세금보다 더 내야 할 수도 있음
  • 장기 투자할 생각으로 유지하는 게 중요!
  • 400만 원 넘게 넣어도 공제는 400만 원까지만
  • 500만 원, 600만 원 납입해도 세액공제는 400만 원 한도
  • 추가 세액공제 원하면 IRP(퇴직연금) 활용

연금 수령 시 세금 부과

  • 연금으로 받을 때도 3.3~5.5% 연금소득세 부과
  • 대신 한 번에 찾으면 세금이 더 높아지니까 금으로 받는 게 유리

4. 세액공제 최대로 받으려면? (꿀팁)

  • 연금저축펀드 & IRP를 함께 가입해서 900만 원 한도로 공제 받기
  • 연말에 몰아서 납입해도 됨! (한 해 400만 원만 채우면 공제 가능)
  • 급여 5,500만 원 이하라면 세액공제율 16.5% 적용 → 더 유리함
  • 가능하면 연금으로 수령해서 낮은 세율(3.3~5.5%) 적용받기

 

'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금리 인상이 내 지갑에 미치는 영향  (2) 2025.04.11
가계부 쓰는 방법  (0) 2025.04.08
가계부는 왜 써야 할까?  (0) 2025.04.08
신조어 컬쳐핏  (2) 2025.04.01
연금저축펀드에 관하여  (0) 2025.03.27